Studying/Python

[Basic python] 003. 연산자와 조건문

gracie day 2025. 8. 14. 16:00
반응형

 지난 학습을 통해서 우리는 데이터 입력, 출력, 라이브러리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.

[Basic python] 002. 데이터 입출력과 라이브러리

그렇다면 이제 연산이나 조건문과 같은 함수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기초를 쌓아보자.

 

 


💫 연산자

1. 사칙연산자

사칙연산자를 표현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

+(덧셈)  -(뺄셈)  *(곱셈)  /(나눗셈)  %(나머지)  //(목)  **(거듭제곱)

#사칙연산자
add = 1+1
sub = 5-1
mul = 3*3
div1 = 8/3  #나누기
div2 = 8//3 #몫(소수버림을 가지고 있음)
mod = 8%2 #mod 나머지(remainder)구함
exp = 3**3
print(add, sub, mul, div1, div2, mod, exp)
2 4 9 2.6666666666666665 2 0 27

 

2. 비교연산자

비교연산자는 표현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

== (값이 같은가)   != (같지 않다, ≠)  >  >=  <  <=

#비교 연산자 - 값을 비교
print(3 == 3) #True
print(3 != 3) #False
print(3 > 3)  #F
print(3 >= 3) #T
print(3 < 3)  #F
print(3 <= 3) #T
True
False
False
True
False
True

 

3. 논리연산자

논리연산자에는 and, or, not이 있다.

1) and

#and ; 참참 -> 참이 나옴, 나머지는 거짓
print(True and True)
print(True and False)
print(False and True)

print("-"*3,"example","-"*3)
age = 7
print(age > 3 and age < 10)
True
False
False
--- example ---
True

 

2) or

#or ; 하나라도 참이면 참임, 둘다 거짓일때 거짓
print(True  or True)
print(True  or False)
print(False or True)

print("-"*3,"example","-"*3)

age = 7
print(age > 3 or age > 10)
True
True
True
--- example ---
True

 

3) not

#not ; 반전
print(not True)
print(not False)
False
True

 

4. 연산자의 우선순위

거듭제곱(**) > 사칙연산(* / // %) > 사칙연산(+, -) > 비교연산자 > not > and > or


💫  불리언 타입(bool)

모든 데이터의 값을 True와 False의 결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.

#bollean type은 (True, False) (1,0) (데이터가 있다, 없다)로 표현 가능하다

int1 = bool(1)
int2 = bool(0)
int3 = bool(-1) 
print(int1, int2, int3) 

str1 = bool('spencer')
str2 = bool('')
str3 = bool(' ') #스페이스도 string으로 친다
print(str1, str2, str3)

list1 = bool([1,2,3])
list2 = bool([])
print(list1, list2)
True False True
True False True
True False

 


💫  조건문

1) if-else문

#조건문 case1
name = 'john'
age = 18
salary = 10000

#조건문 if 작성
if name == 'spencer':
    print('안녕하세요')
else:
    print('누구세요?')
누구세요?

 

2) if-elif-else문(1)

#if-elif-else문
if salary < 1500:
    print('세금 납부 미대상입니다')
elif salary >= 1500 or salary < 500:
    print('세금 납부 대상자 A유형입니다')
else:
    print('세금 납부 대상자 B유형입니다')
세금 납부 대상자 A유형입니다

 

3)  if-elif-else문(2)

#(예제) 전자 키트에서의 예제
press_btn = 'btn_A' #A버튼이 눌렸을때

if press_btn == 'btn_A':
    print('LEDs : ', ['ON', 'OFF', 'OFF'])
elif press_btn == 'btn_B':
    print('LEDs : ', ['OFF', 'ON', 'OFF'])
elif press_btn == 'btn_C':
    print('LEDs : ', ['OFF', 'OFF', 'ON'])
else:
    print('LEDs : ', ['OFF', 'OFF', 'OFF'])
LEDs :  ['ON', 'OFF', 'OFF']
반응형